뇌전증, 발작은 뇌의 작은 폭풍:원인,전조증상,완치,그리고 희망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뇌전증, 발작은 뇌의 작은 폭풍:원인,전조증상,완치,그리고 희망이야기

by 수석보좌관 2025. 2. 19.
반응형

뇌전증-원인-전조증상-완치-희망-발작
뇌전증 뜻과 전조증상,그리고 완치

 

 

 

갑작스러운 의식 소실, 몸의 경련, 이상 행동... 뇌전증(간질)은 뇌의 일시적인 전기적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발작이 나타나는 만성 신경 질환입니다.

과거에는 '간질'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줄이기 위해 '뇌전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뇌전증의 뜻, 원인, 다양한 발작 유형, 전조 증상, 진단, 치료, 완치 가능성, 그리고 뇌전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뇌전증(腦電症, Epilepsy), 정확히 어떤 병일까요?

뇌전증-간질-과도한흥분-전기폭풍-발작증상뇌전증-간질-과도한흥분-전기폭풍-발작증상
뇌전증이란?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의 갑작스럽고 불규칙한 과도한 흥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마치 뇌에서 일어나는 '작은 전기 폭풍'과 같습니다. 이러한 전기적 기능 이상은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될 수도 있고, 뇌 전체로 퍼져나갈 수도 있습니다. 뇌전증은 단순히 발작 증상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 행동, 감정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뇌전증, 왜 생기는 걸까요? (뇌전증 원인)

뇌전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크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뇌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뇌전증-간질-과도한흥분-전기폭풍-발작증상-뇌전증원인
뇌전증원인

  • 뇌 손상: 출생 전후 뇌 손상, 외상성 뇌 손상, 뇌졸중, 뇌종양, 뇌 감염(뇌염, 뇌수막염 등)
  • 유전적 요인: 특정 유전자 변이는 뇌전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뇌전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뇌 발달 이상: 뇌 형성 과정에서의 문제(피질 이형성증 등)
  • 대사 이상: 저혈당, 저칼슘혈증, 저나트륨혈증 등
  • 자가면역 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등
  • 감염: 뇌염, 뇌수막염, 기생충 감염 등
  • 독성 물질: 알코올, 약물 중독 등
  • 원인 불명: 많은 경우 뇌전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뇌전증 발작, 어떻게 나타날까요? (뇌전증 증상)

뇌전증 발작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 시작되고 어떻게 퍼져나가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크게 부분 발작(Partial Seizure)전신 발작(Generalized Seizure)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부분 발작 (Partial Seizure)

뇌전증-간질-과도한흥분-전기폭풍-발작증상-뇌전증증상-부분발작-전신발작
뇌전증 증상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되는 발작으로, 의식 유무에 따라 단순 부분 발작과 복합 부분 발작으로 나뉩니다.

  • 단순 부분 발작: 의식이 유지되며, 뇌의 특정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운동, 감각, 자율신경계, 정신 증상)이 나타납니다.
    • 운동 증상: 한쪽 팔다리나 얼굴에 나타나는 반복적인 경련, 씰룩거림
    • 감각 증상: 한쪽 팔다리나 얼굴의 저림, 따끔거림, 이상한 냄새나 맛, 환시, 환청
    • 자율신경계 증상: 얼굴이 붉어짐, 땀, 침 분비, 동공 확장, 심장 두근거림
    • 정신 증상: 이상한 기분, 공포, 분노, déjà vu(旣視感, 기시감), jamais vu(未視感, 미시감)
  • 복합 부분 발작: 의식 변화가 동반되는 발작으로, 멍하니 응시하거나, 입맛을 다시거나, 손으로 만지작거리는 등 목적 없는 행동을 반복합니다.

전신 발작 (Generalized Seizure)

뇌전증-간질-과도한흥분-전기폭풍-발작증상-뇌전증증상-부분발작-전신발작
전신발작

뇌 전체에서 동시에 시작되는 발작으로, 의식 소실이 동반됩니다.

  • 대발작 (Tonic-Clonic Seizure): 전신이 뻣뻣해지고(강직), 팔다리를 규칙적으로 떠는(간대) 발작입니다.
  • 소발작 (Absence Seizure): 주로 소아에게 나타나며, 수 초 동안 멍하니 응시하거나 눈을 깜빡거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 근간대성 발작 (Myoclonic Seizure): 갑작스럽고 짧게 근육이 수축하는 발작입니다.
  • 무긴장 발작 (Atonic Seizure): 갑자기 근육의 힘이 빠져 쓰러지는 발작입니다.
  • 간대성 발작(Clonic Seizure): 팔다리를 규칙적으로 떠는 발작입니다.
  • 강직 발작(Tonic Seizure): 전신 근육이 뻣뻣해지는 발작입니다.

뇌전증 전조 증상, 미리 알 수 있을까요? (뇌전증 전조 증상)

일부 뇌전증 환자는 발작 전에 특정한 전조 증상(Aura)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전조 증상은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되는 부분 발작의 초기 증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전증 전조증상-초기증상-환시,환청-어지럼증-두통-따끔거림뇌전증 전조증상-초기증상-환시,환청-어지럼증-두통-따끔거림
뇌전증 전조증상

  • 이상한 냄새나 맛
  • 환시, 환청
  • 복부에서 치밀어 오르는 느낌
  • 알 수 없는 공포감, 불안감
  • 어지럼증, 두통
  • 손발 저림, 따끔거림

전조 증상을 인지하면 발작에 대비하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뇌전증, 어떻게 진단할까요?

뇌전증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뇌전증 전조증상-초기증상-환시,환청-어지럼증-두통-따끔거림-뇌전증 진단방법
뇌전증 진단방법

  • 병력 청취 및 신경학적 검사: 자세한 병력 청취(발작 양상, 빈도, 지속 시간, 유발 요인, 가족력 등)와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뇌전증 여부를 의심하고, 다른 신경계 질환과의 감별을 시도합니다.
  •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 뇌전증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로,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합니다. 뇌전증 환자는 뇌파에서 특징적인 뇌전증파(Epileptiform discharge)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 뇌 영상 검사(MRI, CT): 뇌의 구조적 이상(뇌종양, 뇌졸중, 뇌 손상 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혈액 검사: 전해질 불균형, 대사 이상, 감염 등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뇌전증, 어떻게 치료할까요?

약물치료-뇌전증수술-케톤생성식이요법
뇌전증 치료

뇌전증 치료의 목표는 발작을 조절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뇌전증은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충분히 조절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항경련제): 뇌전증 치료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입니다. 항경련제는 뇌 신경세포의 흥분을 억제하여 발작을 예방하고 조절합니다. 환자의 발작 유형, 연령, 성별, 동반 질환, 약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 조절합니다.
    • 처방된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임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변경하면 발작이 재발하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약물 부작용(졸음, 어지럼증, 체중 증가, 간 기능 이상, 골다공증 등)이 나타나면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약물치료의 중요성-규칙적복용-부작용관찰
약물치료의 중요성

  • 케톤 생성 식이 요법(Ketogenic Diet):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 특히 소아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 고지방, 저탄수화물, 적절한 단백질로 구성된 식단을 통해 뇌가 포도당 대신 케톤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발작을 조절합니다. 반드시 전문가(의사, 영양사)의 감독 하에 시행해야 합니다.
  • 뇌전증 수술: 약물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뇌의 특정 부위에서 발작이 시작되는 경우(초점성 뇌전증)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뇌전증 병소를 제거하거나, 뇌의 특정 부위를 절제하거나 연결을 끊는 수술을 통해 발작을 조절합니다.
  • 미주신경 자극술(Vagus Nerve Stimulation, VNS): 목 부위에 있는 미주신경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뇌전증 발작을 조절하는 치료법입니다. 약물 치료나 수술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습니다.

뇌전증, 완치될 수 있을까요? 

뇌전증은 완치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약 70%의 환자는 항경련제 복용을 통해 발작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일정 기간 발작이 없으면 의사의 판단 하에 약물 복용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전증의 종류와 원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 완치 가능성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뇌전증 완치-뇌전증희망-완치가능성
뇌전증 완치가능성


뇌전증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정보

  • 발작 시 응급 대처:
    1. 환자를 안전한 곳에 눕히고, 주변의 위험한 물건을 치웁니다.
    2. 머리 아래에 부드러운 것을 받쳐줍니다.
    3. 옷의 단추나 허리띠를 풀어 호흡을 편하게 해줍니다.
    4. 억지로 팔다리를 붙잡거나, 입에 손가락이나 다른 물건을 넣지 않습니다.
    5.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의식이 돌아오지 않거나, 반복적인 발작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옷느슨하게하기-머리보호하기-119신고-안전한곳에눕히기
뇌전증환자와 가족을 위한 정보

  • 뇌전증 환자 지원 단체: 한국뇌전증협회 등 뇌전증 환자와 가족을 위한 다양한 지원 단체가 있습니다.
  •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뇌전증은 치료와 관리를 통해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입니다. 뇌전증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버리고, 뇌전증 환자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뇌전증은 전염되나요?

A1: 아니요, 뇌전증은 전염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Q2: 뇌전증 환자는 운전을 할 수 있나요?

A2: 뇌전증 환자의 운전 가능 여부는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일정 기간 동안 발작이 없고, 의사의 진단과 평가를 통해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작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운전을 제한해야 합니다.

Q3: 뇌전증 환자는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가요?

A3: 네, 가능합니다. 하지만, 임신 전과 임신 중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조절 및 건강 관리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일부 항경련제는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전한 약물로 변경하거나 용량을 조절해야 할 수 있습니다.

Q4. 뇌전증 환자는 어떤 운동을 할 수 있나요?

A4: 뇌전증 환자도 대부분의 운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운동(스쿠버 다이빙, 암벽 등반, 고공 낙하 등)은 피해야 합니다. 운동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고,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은 헬멧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혼자보다는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전증은 더 이상 숨겨야 할 부끄러운 질병이 아닙니다.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치료, 그리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뇌전증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뇌전증 환자와 가족 모두 희망을 잃지 말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함께 노력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